01_금융, 재테크, 세금

세금신고 삭제 요청서 - 증여세 등

tothebest 2020. 12. 29. 17:39
728x90

 

안녕하세요

세금신고 삭제 관련하여 정리해 봅니다. 홈택스를 통해 신고(제출)한 신고서나 과세자료를 삭제요청할 수 있습니다.
국세청 대민포털 이용에 관한 규정 제 16조에 의거한 것이며, 삭제요청기한은 웹에서 세금신고한 후 삭제사유(중복신고, 과세연월오류, 신고대상이 아닌 신고 등)가 발생한 경우 법정신고기한 후 2일 이내 신고서(첨부서류 포함) 또는 과세자료를 삭제 요청할 수 있습니다.


※ 신고서 전송 후 신고기간 중에 다시 전송할 경우에는 삭제요청서를 제출할 필요 없이, 신고서를 재전송하시면 최종분이 반영됩니다.

□ 이용 가능한 신고(과세자료) 종류
세금신고
부가가치세, 종합소득세, 원천세, 법인세, 교육세, 양도소득세, 증여세, 종합부동산세, 개별소비세, 주세, 증권거래세, 인지세, 교통에너지환경세, 사업장현황신고서, 공익법인보고서, 해외금융개좌신고서, 농어업기자재환급신청서

과세신고
지급명세서, 일용근로소득, 승용면세, 주류판매기록부

이용 대상자
국세청 웹 통해 세금신고(과세자료제출)한 자료에 한해 공인인증서 로그인한 자

 

 

 

 

□ 세금신고 삭제 요청

 홈택스 로그인 후, '신고/납부' 메뉴의 '세금신고 삭제요청' 메뉴로 이동합니다.

 

 세금신고 삭제 요청서 메뉴에서 '삭제요청서 작성하기' 버튼을 클릭합니다.

 

 세금신고 삭제요청서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합니다.

 - 세목: 삭제하려고 하는 세목을 입력합니다. 저는 증여세를 선택했습니다.

 - 사업자등록번호(주민등록번호)

   정보를 입력 후 '확인'을 클릭하게 되면, 이전에 제출했던 신고서 제출 목록이 나타납니다.

   삭제하려고 하는 신고서를 선택하면 신고번호와 상호(성명) 부분이 자동으로 입력됩니다.

 - 신청인

 - 연락처 

 

 세금신고 삭제요청서에서 입력한 내용을 다시 한 번 확인하고 '삭제요청 제출하기' 버튼을 눌러서 마무리 합니다.

 

별로 사용할 일은 없을 것 같지만 이런 것도 있구나 하고 넘어가면 될 것 같습니다. 그리고 세금신고 삭제요청이 필요한 분도 있으리라 생각이 들며,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.

 

감사합니다.

728x90